총 163건 중 163건 출력
, 2/17 페이지
-
11
-
월북 이후 이석호의 조선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과 전통의 변용
-
홍성후;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v.0,
2020,
pp.41-69)
-
12
-
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 화집 『오늘의 조선화』(1980)를 중심으로
-
홍지석;
단국대학교;
(미학예술학연구,
v.32,
2010,
pp.373-402)
-
13
-
북한미술의 기원 - 카프미술, 항일혁명미술, 그리고 조선화 -
-
홍지석;
단국대학교;
(한민족문화연구,
v.0,
2010,
pp.281-312)
-
14
-
김일성주의 미술론 연구: 조선화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
박계리;
이화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
v.39,
2003,
pp.289-309)
-
15
-
월경통(月經痛) 및 냉대하(冷帶下)에 활용(活用)된 외치법(外治法)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조선화;
정진홍;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교실;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9,
2000,
pp.319-335)
-
16
-
북한미술의 근대성:사회주의리얼리즘, 조선화, 그리고 사진
-
홍지석;
단국대학교;
(현대미술사연구,
v.0,
2013,
pp.133-152)
-
17
-
1960년대 중반 북한 체제의 변화와 조선화의 혁신적 변모
-
조우찬;
북한대학원대학교;
(한국예술연구,
v.0,
2018,
pp.95-114)
-
18
-
청소년의 아버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배경변인 연구
-
최명선;
조선화;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한서대학교 청소년학과;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26,
2005,
pp.279-279)
-
19
-
비반복적 본색과 예술적 필치-1970년대 북한의 조선화 형식론-
-
홍지석;
단국대학교;
(동양미술사학,
v.14,
2022,
pp.221-242)
-
20
-
비반복적 본색과 예술적 필치 -1970년대 북한의 조선화 형식론-
-
홍지석;
단국대학교;
(동양미술사학,
v.14,
2022,
pp.22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