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A Semiotic Approach to Narratives about the Mid-Silla Period in Samguk yusa
-
조융희;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8,
2005,
pp.199-222)
-
12
-
Mt. Geumgangsan and its Literary Figuration:An Analysis on Yi Sangsu’s Travelogue in the Late-Joseon Period
-
조융희;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8,
2005,
pp.155-178)
-
13
-
조선후기 연행록에 형상화된 기녀의 모습- 연행사가 국내 노정에서 보인 관심의 방향을 중심으로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0,
2017,
pp.59-102)
-
14
-
그리피스의 문학관과 한국 민담에 대한 이해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비교문학,
v.0,
2010,
pp.79-120)
-
15
-
영조 어제에 나타난 ⟨시경(詩經)⟩ 독서의 양상과 의미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v.36,
2013,
pp.230-258)
-
16
-
Poetic Criticism in the Mid-Joseon Period: Focusing on Arguments about the Tang and Song Sty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Korea Journal,
v.45,
2005,
pp.265-288)
-
17
-
조선 중기 ‘興’의 詩論과 그 적용 양상: 興趣論의 수용과 비평적 적용을 중심으로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v.28,
2005,
pp.179-201)
-
18
-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v.0,
2008,
pp.117-142)
-
19
-
『삼관기』 이본들에 나타난 작품 구성의 특징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v.33,
2010,
pp.35-63)
-
20
-
Landscape-Enjoying through the Pavilions of Bubyeongnu and Yeongwangjeong as Reflected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26,
2023,
pp.139-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