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조태일 시 연구
- 이동순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i, 255 p, 2008
-
12
-
The concept of people ’ s poetry and its masculinity of Cho Tae-il
-
Lm, Ji-yeon;
;
(우리어문연구 =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61,
2018,
pp.135-170)
-
13
-
조태일의 시집 『식칼論』(1970)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정민구;
전남대학교;
(전남대 어문논총,
v.0,
2022,
pp.301-325)
-
14
-
조태일의 시어 유형과 상상력
-
이동순;
전남대학교;
(한국언어문학,
v.0,
2008,
pp.279-301)
-
15.
- 趙泰一 詩精神 硏究
- 이동순
-
단국대학교, 국내석사,
iv, 85장, 2005
-
16
-
김수영과 조태일 시의 ‘풀’ 의미구조 고찰
-
이승철;
전북대학교;
(한국시학연구,
v.0,
2012,
pp.241-268)
-
17.
- 조태일 시 연구
- 방인석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ⅱ, 78 p., 2001
-
18
-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조태일의 시세계
-
박몽구;
한양대학교;
(현대문학이론연구,
v.0,
2006,
pp.151-172)
-
19
-
민족과 국토, 그리고 미-조태일의 ‘국토’의 경우
-
최현식;
연세대학교;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9,
2005,
pp.293-314)
-
20
-
나, 우리, 민중 - 조태일 민중시의 시적 주체
-
김나현;
연세대학교;
(현대문학의 연구,
v.0,
2021,
pp.279-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