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601건 중 1,000건 출력
, 2/100 페이지
-
11
-
한일 양언어의 주명사「가능성(可能性)」에 대한 고찰
-
박장경;
;
(日本語文學=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51,
2011,
pp.17-31)
-
12
-
2.前頭葉・言語領野周辺
-
;
;
(Japanese Journal of Neurosurgery,
v.9,
2000,
pp.262)
-
13
-
『책 읽어주는 남자』와 <더 리더> - 소설언어와 영상언어의 비교
-
류진상;
;
(헤세연구,
v.0,
2011,
pp.189-210)
-
14
-
바스크주에서의 역언어전이
-
최종호;
울산대학교;
(스페인어문학,
v.0,
2008,
pp.203-222)
-
15.
- 이주 배경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정체성 연구
- 박근택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165, 2024
-
16
-
주 키워드와 부 키워드를 이용한 자연언어 정보 검색 모델
-
Kang, Hyun-Kyu;
Park, Se-Youn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처리연구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처리연구실;
(정보처리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4,
1997,
pp.3052-3062)
-
17
-
客家語とその言語主体のエスニック・アイデンティティー上での差異
-
CAI, Lin;
;
(アジア文化硏究 = Journal of Asian Culture Society International,
v.9,
2002,
pp.34-45)
-
18
-
언어문자와 사상: 周作人의 한자론
-
홍준형;
동덕여자대학교;
(중국현대문학,
v.0,
2006,
pp.299-326)
-
19
-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
-
이미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재활 전공;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2016,
pp.548-556)
-
20
-
日・韓両言語における主観述語について-「ている」「がる」を中心にして-
-
Hwang,Mi-Ok,;
;
(日本硏究 = Japanese studies,
v.36,
2008,
pp.457-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