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30건 중 1,000건 출력
, 2/100 페이지
-
11
-
중어중문학과의 특성과 발전을 위한 제언
-
이충양;
고려대 중어중문학과;
(大學敎育 = Higher education,
v.38,
1989,
pp.112-120)
-
12
-
서예학의 중어중문학 범주내 수용 당위성에 대한 연구
-
김병기;
;
(中國人文科學,
v.14,
1995,
pp.255-292)
-
13
-
한국 ‘중어중문학’의 연구 방향 및 방법에 대한 일 고찰 - 문학의 청각적 연구방법을 제안하며
-
김용표;
;
(中語 中文學,
v.44,
2009,
pp.103-150)
-
14
-
대학의 이념과 중어중문학 교육
-
李先玉;
충북대학교;
(중국문학,
v.40,
2003,
pp.285-302)
-
15
-
韓國中語中文學會 2007年度 聯合國際學術大會 : 21세기 中國語文學 硏究와 中國語 敎育
-
편집부;
;
(中國小說硏究會報= Newsletter for research in Chinese novels,
v.2008,
2008,
pp.138-141)
-
16
-
중어중문학과 한자 교육의 새로운 시도 - “羊”과 羊부수 글자 중심으로
-
전긍;
초팽염;
;
(中國人文科學,
v.46,
2010,
pp.77-91)
-
17
-
Proposals for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 A New Direction i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and Lesson Design -
-
NA, Su-yeon;
;
(인문학연구 :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Journal of humanities,
v.38,
2025,
pp.521-539)
-
18
-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o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es : A Case Study of Digital, No-Code and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
Lee, Su-youn;
Park, Chan-wook;
;
(中國語文學論集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144,
2024,
pp.171-199)
-
19
-
대학의 이념과 중어중문학 교육
-
李先玉;
충북대학교;
(중국문학,
v.40,
2003,
pp.285-302)
-
20
-
한국 ‘중어중문학’의 연구 방향 및 방법에 대한 일 고찰- 문학의 청각적 연구방법을 제안하며
-
김용표;
한신대학교;
(중어중문학,
v.0,
2009,
pp.10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