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6건 중 196건 출력
, 2/20 페이지
-
11
-
동중국해의 해양질서 변동과 한중해양경계획정: 지경학으로서 제도화된 협력 구축
-
박창건;
채첩;
국민대학교 일본학과;
중국 닝보대학교 동해연구원;
(국방연구,
v.67,
2024,
pp.109-142)
-
12
-
지경학의 시대: 주체/구조와 안보/경제의 수평적 상호작용
-
신욱희;
서울대학교;
(한국과 국제정치,
v.37,
2021,
pp.35-61)
-
13
-
중동의 지경학적 전환과 일대일로 -중동과 중국의 전략적 협력 가능성 분석
-
백승훈;
이창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아주대학교;
(지중해지역연구,
v.22,
2020,
pp.51-82)
-
14.
- 지경학으로서 일본의 인도-태평양 통상정책 :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협상과정에서 드러난 위기관리 전략
- 석민규
-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iv, 94, 2023
-
15
-
해상교통로의 성립 조건과 지경학 및 지정학적 가치
-
박주현;
대한민국 해군, 한국해양전략연구소;
(한국해양안보논총,
v.7,
2024,
pp.147-180)
-
16
-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의 지경학(地經學) : 중아합작(中俄合作) 대 연아타중(連俄打中)
-
이왕휘;
아주대학교;
(국가안보와 전략,
v.17,
2017,
pp.43-81)
-
17
-
지경학의 국가경제책략으로서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 ‘체결’에서 ‘발효’까지 한일정치과정
-
박창건;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
v.29,
2021,
pp.8-39)
-
18
-
우리나라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지경학적 고찰과 대응방안
-
김춘배;
정무권;
공인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운동의학센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2018,
pp.240-250)
-
19
-
21세기 한반도 겨영전략 - 지경학적 접근, 홍철ㆍ김원배 편저, 국토연구원
-
안석교;
;
(국토 = Planing and policy,
v.222,
2000,
pp.68-68)
-
20
-
RCEP의 지경학과 지정학, 전망과 함의
-
김양희;
국립외교원;
(동향과 전망,
v.0,
2021,
pp.167-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