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戰國時期 秦系文字의 偏旁簡省에 대한 考察
-
이상기;
광주대학교;
(중국인문과학,
v.0,
2018,
pp.1-14)
-
12
-
병와 이형상의 「荒服願戴歌」에 대한 소고
-
김새미오;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v.0,
2024,
pp.207-236)
-
13
-
천미포 왜변과 후기왜구의 상관관계 고찰
-
신윤철;
난징대학교;
(탐라문화,
v.0,
2024,
pp.167-205)
-
14
-
18세기 호남선비 황윤석의 ‘호남 살리기’ : 『이재난고(頤齋亂藁)』의 만년 기록(1787~1791)을 중심으로
-
이지양;
연세대학교;
(민족문학사연구,
v.0,
2011,
pp.32-51)
-
15
-
“後具”抑或“本具”? ——關於朱子“心具衆理”命題之再詮釋
-
陳雙珠;
復旦大學;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v.0,
2019,
pp.153-174)
-
16
-
遼代都城類型和形制佈局初探
-
동신림;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45,
2012,
pp.1-27)
-
17
-
里耶秦簡을 통해 본 秦代 文書行政方式과 그 특징
-
오준석;
경북대학교;
(중국고중세사연구,
v.0,
2009,
pp.105-152)
-
18
-
5胡16國時期 匈奴族 鐵弗部와 鮮卑族 拓跋部의 관계 연구
-
김영환;
남서울대학교;
(중국학연구,
v.0,
2011,
pp.407-429)
-
19
-
遼代都城類型和形制佈局初探
-
동신림;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문화재,
v.45,
2012,
pp.1-27)
-
20
-
曾幾의 詩論과 그의 詠雨詩
-
최웅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중국학연구,
v.0,
2010,
pp.165-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