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1910년대 단편소설과 유학(留學)의 문제 : 유학경험의 텍스트화를 중심으로
- 김태윤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 77p., 2003
-
12
-
근대 계몽기 번역문학과 독자층 연구 - 『춘희』 번역을 둘러싼 한·중·일 독자 경향 비교 -
-
전은경;
경북대학교;
(우리말글,
v.56,
2012,
pp.765-802)
-
13.
- 근대단편소설의 고백담론 연구
- 이영주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89장., 2012
-
14.
- 1920년 민간신문 구성원의 연결망 분석
- 최상원
-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230 p, 2012
-
15
-
번역가로서의 최남선
-
김욱동;
;
(외국문학연구= Foreign literature studies,
v.35,
2009,
pp.49-68)
-
16
-
근대계몽기 일본 유학생 잡지의 사회적 공간과 문예 잡지의 역할 - 서사 문예물을 중심으로 -
-
전은경;
경일대학교 후지오네칼리지 교양학부;
(어문학,
v.0,
2024,
pp.337-385)
-
17.
- 廉想涉 建國期(1945~1950) 小說의 이데올로기 硏究
- 조병도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국내박사,
ⅴ, 231 p., 2007
-
18
-
1920년대 전반기 <문인회>의 결성과 그 와해
-
박현수;
성균관대학교;
(한민족문화연구,
v.49,
2015,
pp.393-417)
-
19.
- 韓國 近代隋筆의 文學史的 硏究 : 개화기에서 1920년대까지
- 정주환
-
又石大學校, 국내박사,
iii,308p., 1996
-
20.
-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 연구
- 석형락
-
고려대학교, 국내박사,
147 p.,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