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9건 중 149건 출력
, 2/15 페이지
-
11
-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최수찬;
김상아;
허영혜;
박웅섭;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동서울대학 실버복지과;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3,
2008,
pp.221-231)
-
12
-
전기아연도금 강에서 미세조직 및 표면유막이 용접 spatter에 미치는 영향
-
최한철;
최수찬;
김광연;
안덕수;
김영우;
광양대학제철금속과;
전남대학교 금속공학과;
전남대학교 금속공학과;
포항제철광양연구소압연 연구소;
포항제철광양연구소압연 연구소;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30,
1997,
pp.13-22)
-
13
-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최수찬;
박해웅;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7,
2005,
pp.177-196)
-
14
-
근로자 당면문제가 스트레스와 업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우종민;
최수찬;
김대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神經精神醫學 =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47,
2008,
pp.369-377)
-
15
-
톨게이트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수찬;
이은혜;
이소민;
조영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2018,
pp.561-572)
-
16
-
중소기업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WFC)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수찬;
이지선;
이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2015,
pp.271-279)
-
17
-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직무디스트레스의 역할
-
최수찬;
고수연;
이지연;
이희종;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2015,
pp.293-303)
-
18
-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
최수찬;
이지선;
심세연;
이지혜;
박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2017,
pp.1-9)
-
19
-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김재엽;
최수찬;
최보라;
김혜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7,
2009,
pp.51-61)
-
20
-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복리후생제도의 조절효과
-
최수찬;
이희종;
정선아;
이지선;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韓國心理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産業 및 組織,
v.27,
2014,
pp.54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