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3건 중 153건 출력
, 2/16 페이지
-
11
-
최승자 시의 에코페미니즘적 의미
-
이혜원;
고려대학교;
(문학과환경,
v.18,
2019,
pp.157-193)
-
12
-
고정희와 최승자 시에 나타난 모성성
-
Peng, Qing-min;
;
(비평문학 = Literary criticism,
v.2013,
2013,
pp.261-293)
-
13.
- 최승자 詩의 自我意識 연구
- 이재헌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167장.:, 2012
-
14.
- 최승자 시의 실존적 양상 연구
- 장인애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iii, 80 p., 2013
-
15
-
최승자 시텍스트에 나타난 ‘시’의 기호작용(Signification) 연구
-
김석환;
명지대학교;
(한국문예비평연구 =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v.39,
2012,
pp.131-158)
-
16
-
최승자 초기시 연구 - 「無題」 연작에 대한 ‘꼼꼼히 읽기’를 중심으로
-
Yoo, Jun;
;
(비평문학 = Literary criticism,
v.2013,
2013,
pp.199-224)
-
17.
- 최승자 초기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 연구
- 강연형
-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 81 p., 2014
-
18.
- 최승자 시의 실존의식 연구
- 신영연
-
한남대학교, 국내박사,
122장, 2018
-
19.
- 최승자 시 연구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 이주영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ⅲ, 93p, 2016
-
20
-
최승자 시 연구 - 시의식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
박영우;
;
(國語文學,
v.45,
2008,
pp.14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