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唐前期 進士科와 明經科 급제자의 檢證 ― 합격 시기가 분명한 인물을 중심으로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중국고중세사연구,
v.0,
2018,
pp.173-219)
-
12
-
唐前期 進士科와 明經科 급제자의 성격 분석 一例 ― 科擧制度의 定着 과정 解明을 위한 試論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중국고중세사연구,
v.0,
2018,
pp.227-278)
-
13
-
박기수ㆍ이경룡ㆍ하원수ㆍ김경호 역주, 『사료로 읽는 중국 고대 사회경제사,『史記』「平準書」ㆍ「貨殖列傅」, 『漢書』「食貨志」』, (청어람미디어, 2005)
-
朴俸住;
;
(歷史 學報,
v.177,
2007,
pp.435-444)
-
14
-
중국 중앙관학과의 비교를 통해 본 성균관(成均館)의 특성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v.0,
2019,
pp.135-176)
-
15
-
唐前期 制擧의 實狀― 官人選拔制度에서 皇帝權의 限界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동양사학연구,
v.0,
2007,
pp.1-38)
-
16
-
唐 高宗 초기 官人選拔制度관련 두 史料의 釋義 ― 永徽令 중의 簡試와 顯慶 연간 劉祥道의 上奏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중국고중세사연구,
v.0,
2015,
pp.197-235)
-
17
-
进士科的神话:隋ㆍ唐初进士科的实态与后代士人们的认识试论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국제중국학연구,
v.0,
2007,
pp.247-277)
-
18
-
應試者의 입장에서 본 唐代의 科擧― 禮部試의 性格에 관한 一試論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
v.0,
2005,
pp.163-194)
-
19
-
後漢末과 唐末의 黨人과 輿論 - 士人의 集團的 特性에 관한 一試論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중국고중세사연구,
v.0,
2005,
pp.99-136)
-
20
-
隋唐史 學界의 近況 ― 세대별 동향을 중심으로 ―
-
하원수;
성균관대학교;
(동양사학연구,
v.0,
2015,
pp.135-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