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金芳漢 『韓國語의 系統』 - (대우학술총서 인문과학 1), 서울 民音社, 1983년 11월 발행, 271면, 2,200원
-
宋基中;
;
(國語學 =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v.13,
1984,
pp.253-276)
-
12
-
장월중선의 춤 세계에 대한 새로운 발견: 장월중선학술총서 3. 장월중선의 춤 세계의 발간
-
김영희;
성균관대학교;
(국악원논문집,
v.0,
2018,
pp.301-307)
-
13
-
문학과 역사의 만남을 통한 제국주의와 남성성의 해체, 박형지ㆍ설혜심, 『제국주의와 남성성: 19세기 영국의 젠더 형성』 (대우학술총서 573, 아카넷, 2004)
-
金相秀;
;
(歷史 學報,
v.175,
2005,
pp.307-314)
-
14
-
劉鳳翰 著「袁世凱與戊戌政變」 文星叢刊 第83, 臺北 1964. pp. 247, 王樹槐 著「外人與戊戌變法」 中國學術著作獎助委員會叢書6, 臺北 1965, 本文 pp. 248, 附錄ㆍ索引 pp. 53
-
閔斗基;
;
(東洋史學硏究 =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
v.1,
1966,
pp.58-64)
-
15.
- 전후 문학장의 재구성과 '번역문학' : 을유문화사판 세계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최진석
-
성균관대학교, 국내석사,
iii, 153 p., 2015
-
16
-
백두산총서(叢書)와 한라산총서(叢書) 비교 연구
-
최낙진;
제주대학교;
(한국출판학연구,
v.40,
2014,
pp.217-242)
-
17
-
YUGA CHŎNT'ONG'ESŎŬI CHAYŎN SEGYE'HWA KWAHAK 유가 전통에서의 자연세계와 과학 [THE NATURAL WORLD AND SCIENCE IN THE CONFUCIAN TRADITION]. ByKimYŏng‐sik 김영식. Amgok haksul ch'ongsŏ 암곡학술총서 [Amgok Academic Series], 1. Sŏul 서울: Sŏul Taehakkyo Ch'ulp'an Munhwawŏn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Pp. 139. Hardback, ₩ 10.000.
-
;
;
(Religious studies review,
v.48,
2022,
pp.436-436)
-
18.
- 『叢書集成』에 수록된 조선 문인의 작품에 대한 고찰 : 柳得恭, 朴齊家, 金正喜를 중심으로
- 이녹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68장, 2012
-
19
-
<i>CHOSŎN SIDAE YUHAKCHA PULGYO'WAŬI KYOSŎP YANGSANG <b>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 [ASPECTS OF THE ENGAGEMENT OF CHOSŎN PERIOD CONFUCIANS WITH BUDDHISM]</b></i>. By Kim Chong‐su 김종수. Sŏgang haksul ch'ongsŏ 서강학술총서 [Sŏgang Academic Series], 105. Sŏul 서울: Sŏgang taehakkyo ch'ulp'anbu 서강대학교출판부, 2017. Pp. 497. Paperback, ₩ 29.000.
-
;
;
(Religious studies review,
v.46,
2020,
pp.254-255)
-
20
-
HAN'GUK TAMUNHWA SAHOE'WA CHONGGYO 한국 다문화사회와 종교 [MULTICULTURAL SOCIETY AND RELIGION IN KOREA]. By PakChong‐su 박종수. Taegu Kat'ollik Taehakkyo Tamunhwa Yŏn'guwŏn Tamunhwayŏn'gu Ch'ongsŏ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다문화연구총서, 7. P'aju 파주: Han'guk Haksul Chŏngbo 한국학술정보, 2019. Pp. 285. Paperback, ₩20,000.
-
Pokorny, Lukas K.;
University of Vienna;
(Religious studies review,
v.50,
2024,
pp.822-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