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
조선시대 전반기의 두장류(豆醬類)에 관한 문헌적 고찰
-
한복려;
김귀영;
궁중음식문화재단;
궁중음식문화재단;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5,
2020,
pp.1-13)
-
12
-
「내외진연등록(內外進宴謄錄)」을 통해 본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 1902년 중화전 외진연(外進宴) 대전과 황태자의 상차림을 중심으로 -
-
이소영;
한복려;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2012,
pp.128-141)
-
13
-
한국의 식문화 속의 인삼음식
-
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v.2010,
2010,
pp.3-21)
-
14
-
커피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상품화 방안
-
서한석;
김세희;
한복려;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
궁중음식연구원;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ㆍ생활과학대학;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0,
2004,
pp.170-179)
-
15
-
진찬의궤를 통하여 본 1887년 조선왕조 궁중 진찬연 중 만경전 재익일회작과 만경전재익일 야연의 상차림에 대한 고찰
-
김상보;
이성우;
박혜원;
한복진;
황혜성;
한복려;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가정학과;
춘천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궁중음식연구원;
궁중음식연구원;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
1991,
pp.239-257)
-
16
-
진찬의궤의 구성에 관한 고찰
-
한복진;
황혜성;
한복려;
김상보;
이성우;
박혜원;
춘천전문대학 저통조리과;
궁중음식연구원;
궁중음식연구원;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가정학과;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
1991,
pp.31-42)
-
17
-
한글 종가 조리서로 추측되는 「봉접요람」의 의미와 내용
-
한복려;
정혜경;
정라나;
이소영;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2017,
pp.498-512)
-
18
-
진찬의궤를 통하여 본 1887년 조선왕조 궁중 진찬연의 식의례에 대한 고찰
-
김상보;
이성우;
박혜원;
한복진;
황혜성;
한복려;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가정학과;
춘천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궁중음식연구원;
궁중음식연구원;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
1991,
pp.43-51)
-
19
-
진찬의궤를 통하여 본 1887년 조선왕조 궁중 진찬연 중 만경전 익일야연의 상차림에 대한 고찰
-
김상보;
이성우;
박혜원;
한복진;
황혜성;
한복려;
대전보건전문대학 전통조리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가정학과;
춘천전문대학 전통조리과;
궁중음식연구원;
궁중음식연구원;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
1991,
pp.217-237)
-
20
-
『산가요록』의 분석 고찰을 통해서 본 편찬 연대와 저자
-
한복려;
사궁중음식연구원;
(농업사연구,
v.2,
2003,
pp.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