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5건 중 125건 출력
, 2/13 페이지
-
11.
- 중국 고전원림 황가원림과 사가원림에 나타나는 색채표현 비교 연구 및 현대정원 색채설계에 미치는 영향 : 복경 이화원, 쑤저우 졸정원을 중심으로
- 하옥경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국내석사,
x, 130 p., 2022
-
12
-
고대 알타이문명과 일본 천황가
-
김채수;
고려대학교;
(일본문화연구,
v.0,
2012,
pp.105-134)
-
13
-
중국 청대(淸代) 황가능침원(皇家陵寢園)의 조형 및 경관적 특성
-
노재현;
위항;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중국 계림항천공업학원(桂林航天工業學院);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5,
2022,
pp.5-34)
-
14
-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 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
박이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19,
pp.489-512)
-
15
-
강희제(康熙帝)의 「승덕 피서산장(避暑山莊) 36경」에 담긴 황가원림의 경관 특성과 함의
-
노재현;
맹자군;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중국 하북민족사범대학교 미술 및 디자인학과;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5,
2022,
pp.212-240)
-
16
-
From the Summer Palace of China Royal Garden and Horizontal Tablet to View the Characteristic of its Space
-
ZHANG, Jun Hua;
清
華大学
建築学
院;
(ランドスケ-プ硏究 =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62,
1998,
pp.761-764)
-
17
-
中国の皇家庭園の廊的空間における利用者の滞留特性に関する研究
-
LIDI, Ren;
TAKAGI, Masato;
SENDA, Mitsuru;
北京林業大学
;
京都工芸繊
維大学
;
愛知産業大学
大学
院;
(ランドスケ-プ硏究 = Landscape research Japan,
v.68,
2005,
pp.421-424)
-
18
-
The Images of Japanese Royal Family in Photo Postcard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and the Propaganda of Imperialism
-
Han, Hyeon Seok;
;
(日本文化硏究 = Japanese cultural studies,
v.67,
2018,
pp.89-114)
-
19
-
중국 청대(淸代) 황가능침원(皇家陵寢園)의 조형 및 경관적 특성
-
노재현;
위항;
우석대학교;
중국 계림항천공업학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55,
2022,
pp.5-34)
-
20
-
강희제(康熙帝)의「승덕 피서산장(避暑山莊) 36경」에 담긴 황가원림의 경관 특성과 함의
-
노재현;
맹자군;
우석대학교;
중국 하북민족사범대학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55,
2022,
pp.21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