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건 중 187건 출력
, 2/19 페이지
-
11.
- 200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환상적 상상력 : 편혜영, 박민규, 황정은을 중심으로
- 김아름
-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ii, 44 p., 2011
-
12
-
보이지 않는 자들의 혁명 - 황정은의 ⟨디디의 우산⟩을 중심으로
-
김영찬;
계명대학교;
(인문학연구,
v.0,
2024,
pp.331-353)
-
13
-
서발턴의 타자성, 새로운 윤리적 감각 - 황정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이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v.18,
2017,
pp.135-156)
-
14
-
황정은 소설의 환상과 리얼『百의 그림자』와 『야만적인 앨리스씨』를 중심으로
-
심진경;
서강대학교;
(한민족문화연구,
v.49,
2015,
pp.479-506)
-
15
-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폭력’ 비판
-
윤국희;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
(한국근대문학연구,
v.20,
2019,
pp.305-337)
-
16
-
The Revolution of the Invisible Focusing on Hwang Jeong-eun's Novel dd's Umbrella
-
Kim, Young-Chan;
;
(인문학연구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v.67,
2024,
pp.331-353)
-
17
-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여성가족소설에 나타난 균열의 양상과 의미 –김혜진, 『딸에 대하여』와 황정은, 『연년세세』를 중심으로
-
윤혜정;
;
(여성문학연구,
v.0,
2024,
pp.36-59)
-
18
-
불안의 미메시스 - 황정은 「누가」와「낙하하다」에서 재현되는 두 겹의 불안
-
이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언어문학,
v.0,
2024,
pp.287-314)
-
19
-
고통에서 벗어나는 언어행위- 황정은의 소설을 중심으로
-
박신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학논집,
v.0,
2017,
pp.323-360)
-
20
-
환상소설의 두 경향- 손흥규 「투명인간」, 황정은 「모자」 비교
-
이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비평문학,
v.0,
2019,
pp.207-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