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통합검색[Marriage as it's meant to be]
-
11
-
‘사물’로서의 이웃과 결혼이주여성의 목소리 - 『쓰엉』과 『카니발』을 중심으로
-
구재진;
세명대학교;
(한국현대문학연구,
v.0,
2022,
pp.275-308)
-
12
-
조선후기 향리 후손의 거주지 이동과 사회적 지위
-
정성학;
서울대학교;
(한국문화,
v.0,
2021,
pp.223-249)
-
13
-
조선 후기 世子國婚儀禮의 구조 - 숙종 22년(1696)을 중심으로 -
-
박미선;
광주보건대학교;
(韓國史學報,
v.0,
2015,
pp.185-215)
-
14
-
‘그리스도와의 신비한 결혼’과 에로스적인 사랑 - 중세 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
-
이은기;
목원대학교;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v.0,
2015,
pp.113-142)
-
15.
- 다문화 가정 부부의 결혼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 송지현
-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iv, 117 p., 2009
-
16
-
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 『내일의 태양』 원작소설과 영화의 비교 연구
-
남은혜;
서울대학교;
(춘원연구학보,
v.0,
2019,
pp.7-44)
-
17
-
1910년대 유학생 소설 속에 드러난 지식과 젠더의 상관관계-이광수와 나혜석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
서은경;
연세대학교;
(현대문학의 연구,
v.0,
2009,
pp.213-244)
-
18
-
규방가사에 나타난 '혼인문제'와 여성의 인식
-
장정수;
고려대학교;
(어문논집,
v.0,
2017,
pp.5-35)
-
19
-
21세기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적 결혼관: 이쉬야웨와 이샤야웨를 지향하는 궁극적 존재의 회복으로서 결혼
-
조명기;
백석대;
(복음과 상담,
v.10,
2008,
pp.222-249)
-
20
-
⟨흥글소리⟩에 대한 一考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을 통해 본 여성의 자기탐색적 태도-
-
이정아;
가천대학교;
(韓國古典硏究,
v.0,
2012,
pp.6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