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147건 중 1,000건 출력
, 20/100 페이지
-
191
-
<내 친구 정일우>에 나타난 김동원 작품세계의 변화
-
김병철;
동의대학교;
(건지인문학,
v.0,
2020,
pp.21-45)
-
192.
- 김동인 초기 단편소설 연구 : 일본 사소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이승아
-
영남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72, 2011
-
193
-
김동명 시의 비유 구성 방법 연구 - 발굴작을 포함한 초기시를 중심으로
-
전도현;
;
(한국학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
v.43,
2012,
pp.157-184)
-
194
-
Kim Dong-in's 'Gamja' as not 'Potato'
-
하타노 세쓰코;
;
(상허학보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v.38,
2013,
pp.349-353)
-
195
-
Representation of Pro-Japan in 『Liberation』 of Kim Dong-ri
-
류동규;
;
(국어교육연구,
v.51,
2012,
pp.299-328)
-
196
-
김윤식의 『김동인 연구』가 놓인 자리
-
김경수;
;
(구보학보,
v.0,
2019,
pp.85-107)
-
197
-
사랑과 自然 - 1920년대 초기 김동인, 임노월의 작품에서 ‘신성한 연애’의 의미
-
조은주;
;
(韓國民族文化,
v.2012,
2012,
pp.89-119)
-
198
-
김동인(1900~1951) 단편 소설의 근대적 성향 및 전통적 성향 - 김동인의 문학관을 외국인(러시아인)으로서 보는 시각
-
최인나;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30,
2006,
pp.83-102)
-
199
-
풍경의 부재 - 김동인의 〈마음이 옅은 자여〉를 중심으로
-
정혜영;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v.12,
2008,
pp.459-483)
-
200.
- 김동리 소설의 문학지형학 연구
- 김택중
-
대전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i, 184p.,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