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4건 중 314건 출력
, 20/32 페이지
-
191
-
문화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국화와 칼』 재고 – 개인ㆍ관계ㆍ집단을 중심으로 –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
v.0,
2017,
pp.7-31)
-
192
-
전환기 일본인론의 과제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
(일어일문학연구,
v.52,
2005,
pp.225-243)
-
193
-
전시 정책보고서로서의 『국화와 칼』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
v.0,
2014,
pp.83-108)
-
194
-
凹型문화론을 통해 본 일본인의 종교의식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
v.0,
2006,
pp.7-24)
-
195
-
한국의 대차수(大茶樹)
-
박용구;
경북대학교;
(한국차학회지,
v.14,
2008,
pp.175-186)
-
196
-
겨울연가 ‘쓰나미’와 일본인의 대한 이미지 변화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
v.0,
2007,
pp.47-67)
-
197
-
‘個人’ 對 ‘間人’ : 일본인론의 탈오리엔탈리즘화 과정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논총,
v.0,
2007,
pp.365-392)
-
198
-
일본인 집단주의 비판론의 성과와 일본인 관계주의의 위상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어일문학연구,
v.110,
2019,
pp.409-428)
-
199
-
하위민(subaltern)은 말할 수 있는가?—‘공생’ 일본과 ‘상생’ 한국의 비교를 통하여—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日本思想,
v.0,
2024,
pp.1-36)
-
200
-
일본의 디지털 경쟁력 추이와 현황
-
박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
v.0,
2023,
pp.23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