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0건 중 200건 출력
, 20/20 페이지
-
191
-
창극 <서편제>의 자기반영성 연구
-
이진주;
;
(공연문화연구,
v.0,
2016,
pp.333-370)
-
192.
- 판소리의 效果的인 敎育方法에 關한 硏究
- 김경자
-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70 p., 1989
-
193.
- 순천지역 판소리 전승 양상 연구
- 정혜정
-
전남대학교, 국내박사,
iii, 181장, 2019
-
194.
- 영화 속에 등장하는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 : 한국 영화 <서편제>와 중국 영화 <현 위의 인생>을 중심으로
- 진역우
-
청주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191, 2020
-
195
-
재인청 예인들의 활동과 지역의 예술 전통
-
이경엽;
국립목포대학교;
(남도민속연구,
v.0,
2024,
pp.233-264)
-
196
-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
신은주;
전주교육대학교;
(한국음악사학보,
v.0,
2008,
pp.367-410)
-
197
-
판소리에 대한 엇갈린 인식과 대중화의 향방
-
이태화;
고려대학교;
(판소리연구,
v.0,
2013,
pp.153-182)
-
198
-
19세기 수궁가의 더늠 형성에 관한 연구
-
이진오;
금오공과대학교;
(공연문화연구,
v.0,
2018,
pp.185-222)
-
199
-
춘향가 중 군로사령 대목의 설렁제 변화양상
-
서정민;
한양대학교;
(한국음악사학보,
v.0,
2010,
pp.139-194)
-
200.
-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박두진 시
- 김익규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131p.,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