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52건 중 852건 출력
, 20/86 페이지
-
191
-
진경산수화를 이용한 풍화 침식 추척 연구 가능성
-
박용필;
김학성;
위수민;
김경수;
충북과학고등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현장과학교육,
v.7,
2013,
pp.63-76)
-
192
-
朝鮮後期 寫意的 眞景山水畵의 形成과 展開
-
朴銀順;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연구,
v.0,
2002,
pp.333-364)
-
193
-
豹菴 姜世晃의 眞景山水畵- 《楓嶽壯遊帖》을 중심으로 -
-
박은순;
;
(강좌미술사,
v.0,
2013,
pp.121-146)
-
194.
- 時代的 潮流에서 바라본 鄭선의 眞景山水畵 一考察
- 송치동
-
건국대학교, 국내석사,
60p., 1991
-
195.
- 民畵속의 山水畵에 수용된 眞景畵風 硏究
- 이정아
-
충남대학교, 국내석사,
i,60p., 1998
-
196
-
대순사상의 도통진경과 이상세계에 대한 현대적 이해
-
배규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논총,
v.5,
1998,
pp.377-453)
-
197
-
진경산수화 분석을 통한 산지 구릉 경관 유형의 분류 및 해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
강명수;
규우슈우 대학대학원 인간환경학 연구과;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29,
2001,
pp.12-23)
-
198
-
서자평의 명리사상 연구- 옥조신응진경을 중심으로 -
-
이명재;
동방대학원대학교;
(중국학연구,
v.0,
2013,
pp.361-389)
-
199
-
전진경계법을 이용한 삼차원 혼합요소망 자동생성
-
한재녕;
채수원;
권기연;
이병채;
고려대 대학원 기계공학과;
고려대 기계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v.2006,
2006,
pp.419-420)
-
200
-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가계의 도원관(桃源觀)과 진경산수의 관련성
-
임희숙;
;
(한국학,
v.44,
2021,
pp.169-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