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0건 중 210건 출력
, 21/21 페이지
-
201
-
시 창작 기초 교육 방법으로 ‘시작법’ 적용 사례 연구 -시적 묘사를 중심으로-
-
박송이;
한남대학교;
(새국어교육,
v.0,
2022,
pp.519-543)
-
202.
- 한국 현대시의 패러디 구조 연구
- 정끝별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246p, 1996
-
203
-
전체의 신화와 개인의 신화
-
이기성;
이화여자대학교;
(민족문학사연구,
v.0,
2005,
pp.93-126)
-
204
-
김소월의 「詩魂」 재고 - 김억 시론과의 상관성과 변별점을 중심으로
-
김영범;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한국근대문학연구,
v.25,
2024,
pp.157-190)
-
205
-
시적 코드의 변환으로 살펴본 80년대의 도시공간
-
정유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
v.6,
2014,
pp.211-242)
-
206.
- 시와 영화의 방법론적 상관성 연구 : 은유와 몽타주의 수사적 효과를 중심으로
- 안숭범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i, 235 p., 2010
-
207.
- 한국시의 방법론적 전회와 미학적 현대성
- 한혜린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 224 p., 2023
-
208.
- 정화와 치유의 시 쓰기 : - 학위 창작품(시) 중심으로
- 김성진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국내석사,
114쪽, 2019
-
209.
- 이성복 문학의 숭고 미학적 연구
- 이철주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 213 p., 2023
-
210.
- 김춘수 시의 몽타주 수사학 연구 : 중기시를 중심으로
- 안수현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160 p., 202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