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75건 중 275건 출력
, 21/28 페이지
-
201
-
동원체제의 과민족화 프로젝트와 섹스영화: 데카당스의 정치학
-
유선영;
성공회대학교;
(언론과 사회,
v.15,
2007,
pp.2-56)
-
202
-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
-
유선영;
성공회대학교;
(언론과 사회,
v.17,
2009,
pp.42-101)
-
203
-
식민지의 할리우드 멜로드라마, ⟨東道⟩의 전복적 전유와 징후적 영화경험
-
유선영;
성공회대학교;
(미디어, 젠더 & 문화,
v.0,
2013,
pp.107-139)
-
204
-
한류 문화와 통・번역 교육을 위한 소고(小考)-관용어(慣用語)를 중심으로
-
유선영;
세종대학교;
(통번역교육연구,
v.18,
2020,
pp.65-82)
-
205
-
인지적 의미분석에 근거한 통․번역 교육 전략 고찰:영어 전치사를 중심으로
-
유선영;
세종대학교;
(통번역교육연구,
v.17,
2019,
pp.19-38)
-
206
-
황색식민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실천, 1934-1942:제국에 대한 '문화적 부인'의 실천성과 정상화 과정
-
유선영;
성공회대학교;
(언론과 사회,
v.13,
2005,
pp.7-62)
-
207
-
식민지 대중가요의 잡종화 민족주의 기획의 탈식민성과 식민성
-
유선영;
성공회대학교;
(언론과 사회,
v.10,
2002,
pp.7-57)
-
208
-
초기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근대적 시각문화의 변조와 재배치
-
유선영;
한국언론재단;
(언론과 사회,
v.12,
2004,
pp.9-55)
-
209
-
A Study on Learning Strategies for English Pronunciation
-
유선영;
세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v.3,
2021,
pp.41-54)
-
210
-
A Study on Changes of English in the Process of English Globalization: Based on English Grammar
-
유선영;
서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v.4,
2022,
pp.6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