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92건 중 292건 출력
, 22/30 페이지
-
211
-
대장단의 유형과 리듬적 결속원리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
(한국음악연구,
v.41,
2007,
pp.185-242)
-
212
-
중중모리 ‘달고 맺기’와 진양 ‘기 경 결 해’의 의미 및 생성연구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
(한국음악연구,
v.39,
2006,
pp.189-236)
-
213
-
한국․중국의 서역 적7조(笛七調) 수용과 변천에 대한 연구 -‘악학궤범7지’와 ‘공척7조’의 음악체계 비교를 중심으로-
-
이보형;
한양대학교;
(한국음악사학보,
v.0,
2011,
pp.243-317)
-
214
-
청의 개념유형과 구례 줄풍류 중려(仲呂)청의 생성원리에 대한 고찰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장;
(한국음악연구,
v.42,
2007,
pp.203-218)
-
215
-
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
(한국음악연구,
v.45,
2009,
pp.251-303)
-
216
-
鄕제 三絃六角小考
-
이보형;
문화재 전문위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0,
1982,
pp.31-39)
-
217
-
박, 박자, 장단의 층위(層位)와 변이(變移)유형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
(한국음악연구,
v.40,
2006,
pp.197-236)
-
218
-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
이보형;
문화재위원, 판소리학회장;
(한국음악사학보,
v.0,
2010,
pp.5-29)
-
219
-
黃海道 대동굿.배연신굿의 巫儀式調査
-
이보형;
문화재 전문위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0,
1985,
pp.198-219)
-
220
-
한국음악과 실크로드음악에서 동주음관계계명 생성연구
-
이보형;
한국고음반연구회장;
(한국음악연구,
v.34,
2003,
pp.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