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3건 중 313건 출력
, 23/32 페이지
-
221
-
중종 연간 대명외교와 『황화집』 간행의 정치적 성격 - 관각문인의 문학과 외교 활동을 중심으로 -
-
노경희;
울산대학교;
(藏書閣,
v.0,
2022,
pp.96-125)
-
222
-
庾信의 역사의식과 문학적 상상력 ― 「哀江南賦」論
-
노경희;
충북대학교;
(중국학보,
v.0,
2017,
pp.3-28)
-
223
-
경성제대 일본인 교수와 조선인 학생의 ⟨춘향전⟩ 읽기-아카데미아의 ⟨춘향전⟩ 근대적 연구의 시작
-
노경희;
울산대학교;
(고전문학연구,
v.0,
2017,
pp.261-296)
-
224
-
『훈민정음(언해본)』 필사본의 서지학적 연구
-
노경희;
울산대학교;
(국어사연구,
v.0,
2024,
pp.49-80)
-
225
-
18세기 일본 고문사파의 중국 시선집 간행과 한시 학습 방법의 보급
-
노경희;
울산대학교;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50,
2018,
pp.79-103)
-
226
-
이벤트 만족이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경희;
경기대학교;
(이벤트컨벤션연구,
v.2,
2006,
pp.61-77)
-
227
-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
노경희;
울산대학교;
(한국한문학연구,
v.0,
2020,
pp.147-182)
-
228
-
동아시아 고전 연구의 자료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 원본과 디지털 자료의 교섭
-
노경희;
울산대학교;
(진단학보,
v.0,
2019,
pp.339-362)
-
229
-
The Relationship Between Bilingualism and Creativity Revisited: Some Considerations for English Education
-
노경희;
서울교육대학교;
(현대영어교육,
v.18,
2017,
pp.45-69)
-
230
-
조선후기 한문학과 일본 고문사파(古文辭派) 문학 연구의 접점과 방향
-
노경희;
울산대학교;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47,
2017,
pp.103-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