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湯顯祖之 ≪牡丹亭≫對六朝志怪小說素材的吸收與發展
-
WANG FEIYAN;
고려대학교;
(중국문학,
v.90,
2017,
pp.117-132)
-
22.
- 《牡丹亭》에 나타난 石道姑의 人物形象
- 김옥금
-
전북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90, 2007
-
23
-
明茅暎評點《牡丹亭》析論
-
羅 麗容;
;
(人文中國學報,
v.,
2020,
pp.93-135)
-
24
-
From Story to Script: towards a Morphology of The Peony Pavilion––a Dream/ Ghost Drama from Ming China
-
Zhao Xiaohuan;
;
(Acta Orientalia Vilnensia,
v.7,
2006,
pp.189-208)
-
25
-
范允臨 <輸廖館集> 수록 시를 통해 본 明代 문인사회 속 ‘夫婦有別’과 소통을 향한 열망
-
김의정;
이화여자대학교;
(중국어문학지,
v.0,
2013,
pp.111-142)
-
26
-
최근 중국 곤곡현상(崑曲現象)에 대한 평가와 전망
-
권응상;
대구대학교;
(중국문학,
v.66,
2011,
pp.109-138)
-
27
-
《牡丹亭》에서 唐詩 集句의 의미-明代의 唐詩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이경현;
서울대학교;
(중국문학,
v.86,
2016,
pp.71-92)
-
28.
- 紅樓夢 애정 서사의 형성 연구
- 주준영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x, 240 p., 2021
-
29.
- 김성탄 비평 『수호전』, 『서상기』의 조선유통과 간행에 관한 연구
- 장문한
-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국내석사,
v, 73 p., 2022
-
30.
- <춘향전>과 중국 원잡극의 비교 연구 : 원잡극 <서상기>,<파요기>,<장두마상>을 대상으로
- 류함함
-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132 p.,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