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문헌기록 속의 영산강 유역 -4~5세기를 중심으로-
-
노중국;
계명대학교;
(백제학보,
v.0,
2011,
pp.5-32)
-
22.
- 세미레치예(Семиречье)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선교전략 연구
- 김상길
-
주안대학원대학교, 국내박사,
, 2014
-
23
-
中國 魏晉·十六國·北朝 主要 古墳의 類型과 地域性
-
조윤재;
고려대학교;
(역사와 담론,
v.0,
2018,
pp.353-422)
-
24
-
全南地域 馬韓社會와 百濟
-
양기석;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학보,
v.0,
2013,
pp.1-21)
-
25
-
吳나라 수도 建業의 都城 공간과 葬地
-
張學鋒;
陳剛;
김홍수;
中國 南京大學;
中國 南京大學;
국립문화재연구소;
(백제연구,
v.0,
2017,
pp.99-127)
-
26
-
마을굿의 시기와 형식을 기반으로 한 문화지도 그리기 - 서울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허용호;
;
(한국무속학 = Korean shamanism,
v.13,
2006,
pp.273-313)
-
27
-
고구려의 동해안 방면 교통로와 물류 유통
-
이승호;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동국사학,
v.0,
2022,
pp.5-46)
-
28.
- 百濟와 東晉의 交涉과 航路
- 임동민
-
高麗大學校 大學院, 국내석사,
62 p., 2015
-
29
-
드라마 「SKY 캐슬」에 나타난 아버지와 어머니의 문지기 유형
-
이영환;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2020,
pp.593-604)
-
30.
- 魏晉玄言文學思潮硏究 : 以玄學餘文學之間的交涉爲主題
- 최세륜
-
國立臺灣師範大學, 국외박사,
VI, 298 p.,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