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민다나오를 중심으로
-
강순원;
한신대학교;
(비교교육연구,
v.19,
2009,
pp.203-225)
-
22
-
1998년 벨파스트 평화협정과 북아일랜드 평화교육의 상관성 -상호이해교육(EMU)에서 민주시민교육(CE)으로-
-
강순원;
한신대학교;
(비교교육연구,
v.13,
2003,
pp.221-242)
-
23
-
분단의 벽은 학부모들의 통합교육 열망에 의해 무너질 수 있었는가? - 북아일랜드 통합교육운동에서의 학부모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
강순원;
한신대학교;
(국제이해교육연구,
v.11,
2016,
pp.49-80)
-
24
-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
강순원;
한신대학교;
(국제이해교육연구,
v.9,
2014,
pp.1-32)
-
25
-
장애성인 평생교육: 배제에서 포용으로
-
강순원;
한신대학교;
(평생교육학연구,
v.19,
2013,
pp.55-84)
-
26
-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
강순원;
한신대학교;
(평생교육학연구,
v.16,
2010,
pp.69-91)
-
27
-
영국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평화적 영성과 교육 : Darvell과 Beechgrove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
강순원;
한신대학교;
(신학사상,
v.0,
2008,
pp.247-276)
-
28
-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한반도 현지화
-
강순원;
한신대학교;
(교육사회학연구,
v.32,
2022,
pp.1-29)
-
29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강순원;
한신대학교;
(국제이해교육연구,
v.19,
2024,
pp.37-84)
-
30
-
Reunification Education Viewed from Peace Education of Northeast Asia
-
강순원;
권순정;
한신대학교;
고려대학교;
(비교교육연구,
v.21,
2011,
pp.95-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