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정신현상학 이성 장에 나타난 헤겔의 유기체관 — 자연의 관찰 연구
-
강순전;
;
(헤겔연구,
v.0,
2009,
pp.9-32)
-
22
-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 - 헤겔 변증법 비판을 중심으로 -
-
강순전;
명지대학교;
(헤겔연구,
v.0,
2006,
pp.69-102)
-
23
-
『정신현상학』 이성 장에 나타난 헤겔의 자연법칙관 — 자연의 관찰 연구 (1)
-
강순전;
명지대학교;
(헤겔연구,
v.0,
2009,
pp.33-53)
-
24
-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의식의 자기검사와 우리의 부가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사상,
v.0,
2015,
pp.205-237)
-
25
-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칸트와 피히테의 관념론 비판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탐구,
v., 20,
2006,
pp.99-122)
-
26
-
순수이성비판에서 일차적 현상과 이차적 현상의 구별 문제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사상,
v.0,
2016,
pp.101-127)
-
27
-
칸트에서 헤겔로 ― 유한한 인간 이성의 철학에서 절대적 주체성의 철학으로 ―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
v.0,
2009,
pp.101-126)
-
28
-
정신으로서의 이성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이성에서 정신으로의 이행의분석을 통한 헤겔의 이성 개념의 계보학적 해명-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사상,
v.0,
2010,
pp.69-98)
-
29
-
효과적인 철학, 논술, 윤리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모델 연구(1): 말하기 듣기 형식의 방법을 중심으로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연구,
v.0,
2009,
pp.313-338)
-
30
-
직접성과 매개: 현 철학의 논쟁의 장으로부터 되돌아 본 헤겔 철학의 전개의 의미
-
강순전;
명지대학교;
(철학연구,
v.0,
2016,
pp.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