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0건 중 200건 출력
, 3/20 페이지
-
21.
- 공동육아과정에 참여하는 부모들의 공동체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최철규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ⅴ, 121 p., 2012
-
22.
- 공동육아 시설의 생태적 식생활 프로그램이 부모 인식과 자녀 식생활 지도에 미치는 영향
- 송우영
-
서울교육대학교, 국내석사,
v, 72p., 2008
-
23
-
품앗이 학습을 위한 웹기반 공동육아교육 관리 시스템
-
김선;
배석찬;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v.2003,
2003,
pp.497-500)
-
24.
- 공동육아운동 제도화의 경로와 과정, 성격에 대한 연구
- 황윤옥
-
성공회대학교, 국내석사,
165, 2008
-
25
-
공동육아 "나들이" 활동의 교육적 과정과 의미 - 참여관찰 연구
-
이부미;
;
(열린유아교육연구 =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4,
1999,
pp.25-46)
-
26
-
공동육아 협동조합 어린이집 보육철학과 건축공간의 관계성
-
유명희;
울산대 건축대학;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9,
2012,
pp.41-50)
-
27
-
'A Study on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ooperative Child-care Place '
-
Kim, Hyemin;
Yoo, Youngdai;
;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14,
2023,
pp.911-924)
-
28
-
공동육아 20년의 기록, 공동육아 회보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색
-
이현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8,
2018,
pp.49-71)
-
29
-
공동육아의 바깥교육 실천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이부미;
;
(생태유아교육연구,
v.13,
2014,
pp.23-51)
-
30
-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이부미;
;
(생태유아교육연구,
v.8,
2009,
pp.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