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北方故土意識의推移에관한고찰Ⅰ- 발해멸망~조선후기 -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발해연구,
v.42,
2012,
pp.247-275)
-
22
-
渤海 五京體制와 遼ㆍ金의 계승과 변용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사와 고대,
v.0,
2022,
pp.91-116)
-
23
-
영문표기를 중심으로 본 서구학계의 고구려ㆍ발해 연구와 성과 소통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발해연구,
v.71,
2021,
pp.61-91)
-
24
-
역사의 의미 내면화를 돕기 위한 ‘도입단원’의 구성 방향
-
구난희;
교육인적자원부;
(역사교육연구,
v.0,
2006,
pp.99-144)
-
25
-
외국의역사교과서 서술사례분석I - 교과체계와내용조직을 중심으로-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교육연구,
v.0,
2012,
pp.51-99)
-
26
-
일제하 천황인식 형성과 역사 교과서의 천황서술 —1930년대 이후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사교육연구,
v.0,
2010,
pp.75-114)
-
27
-
발해의 일본 行路와 出羽ㆍ北陸ㆍ山陰의 고대교통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발해연구,
v.69,
2021,
pp.53-87)
-
28
-
渤海 東京 地域의 歷史的 淵源과 地域性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발해연구,
v.58,
2017,
pp.125-158)
-
29
-
渤日 交流에 등장한 소그드인, 그 경위와 의미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구려발해연구,
v.63,
2019,
pp.63-94)
-
30
-
渤海의 古墳 外廓 造營物에 대한 硏究
-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대사탐구,
v.0,
2019,
pp.4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