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근대 작문의 계보와 이태준의 『문장강화』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v.0,
2015,
pp.481-509)
-
22
-
비교과 프로그램의 고쳐쓰기 활동을 통한 대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챌린지 라이팅’ 사례를 중심으로 -
-
윤호경;
구자황;
김승민;
유상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숙명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인문학연구,
v.61,
2022,
pp.171-210)
-
23
-
전국 수준 대학 글쓰기 연구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 고찰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
v.14,
2020,
pp.131-147)
-
24
-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어문연구,
v.56,
2008,
pp.323-343)
-
25
-
교과서의 발견과 국민․민족의 배치 -근대 전환기 교과서의 양상을 중심으로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어문연구,
v.70,
2011,
pp.265-287)
-
26
-
일제강점기 제도권 문학교육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양상을 중심으로-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문학교육학,
v.0,
2011,
pp.55-79)
-
27
-
사이버문학관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일고찰 - 이문구 사이버문학관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인문콘텐츠,
v.0,
2009,
pp.251-265)
-
28
-
이문구 소설의 구술적 서사전통 연구 - 초기소설을 중심으로 -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상허학보,
v.8,
2002,
pp.323-346)
-
29
-
21세기 ‘문장강화(文章講話)’의 친숙함과 새로움 ― 『고종석의 문장』(알마, 2014)을 읽고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리터러시 연구,
v.0,
2015,
pp.125-146)
-
30
-
근대 교과서와 기행문 성립에 관한 연구 -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과서에 나타난 명승고적을 중심으로 -
-
구자황;
숙명여자대학교;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v.0,
2015,
pp.8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