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통일신라 범종의 형태와 보존과학적 특성 고찰
-
김현정;
김수기;
국립청주박물관;
용인대학교;
(문화재,
v.0,
2007,
pp.357-386)
-
22
-
조선시대 활자본 한지의 특성 (제1보) - 기본 물성 및 해부학적 특성 -
-
윤용현;
이승철;
최태호;
국립중앙과학관;
청주고인쇄박물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3,
2011,
pp.47-56)
-
23
-
조선왕실 주조 청동활자의 복원과 과학적 분석
-
윤용현;
조남철;
이승철;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청주고인쇄박물관;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2009,
pp.207-217)
-
24
-
公文書의 官印 硏究 - 禮式에 따른 官印 체제를 중심으로 -
-
박준호;
국립청주박물관;
(古文書硏究,
v.36,
2010,
pp.1-25)
-
25
-
청주 사뇌사 유물 퇴장(退藏) 시기에 대한 검토
-
윤용혁;
국립공주대학교;
(헤리티지: Korean journal of Heritage: 역사와 과학,
v.57,
2024,
pp.22-36)
-
26.
- 청주 뮤지엄 콤플렉스(Museum Complex)의 필요성과 조성 방안
- 김가은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i, 75 p., 2019
-
27.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박물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고찰 : 청주고인쇄박물관을 중심으로
- 신아영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국내석사,
viii , 70 p., 2022
-
28
-
동아시아 닭 사육의 확립 과정 및 그 역사적 전개 – 동물고고학 최신 분석기법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지은;
홍종하;
이양수;
신동훈;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국립청주박물관;
서울대학교;
(동양학,
v.0,
2022,
pp.95-123)
-
29.
- 노년층을 위한 박물관교육 운영현황과 활성화전략 연구
- 조재은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국내석사,
vi, 95 p., 2020
-
30.
- 청주지역 박물관의 관람동선 네트워크 유형별 진열장 배치특성
- 최보연
-
충북대학교, 국내석사,
ix,62 p.,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