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1건 중 331건 출력
, 3/34 페이지
-
21
-
'람세스'를 다시 읽으며
-
주명철;
한국교원대 역사교육학과;
(출판저널 =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
v.220,
1997,
pp.9-9)
-
22.
- 검무(劍舞)의 표현양태에 나타난 차별적 요인 : 궁중검무와 통영검무를 중심으로
- 김민정
-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68, 2024
-
23.
- 포구락에 대한 고찰
- 송문숙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95p., 1987
-
24
-
조선시대 궁중복식 속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헤어 장신구 디자인 개발
-
황주연;
김성남;
더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경영연구,
v.15,
2021,
pp.75-90)
-
25
-
사찰민화와 불화 속 궁중회화 양식의 경계
-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화,
v.0,
2023,
pp.296-321)
-
26
-
책거리에 표현된 복숭아 이미지 고찰
-
이경미;
경주대학교;
(한국민화,
v.0,
2022,
pp.126-149)
-
27.
- 韓國 花藝 史料의 分析과 傳統 꽃꽂이 樣式의 確認
- 한상숙
-
서울시립대학교, 국내박사,
xvii, 224 p., 2015
-
28
-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들 - 장서각 소장 출산관련 ‘궁중발기[宮中件記]’를 중심으로 -
-
김지영;
서울대학교;
(藏書閣,
v.0,
2010,
pp.3-34)
-
29
-
한글편지를 통해 살펴본 조선시대 궁녀의 삶과 권력
-
노경자;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민족문화,
v.0,
2024,
pp.29-62)
-
30.
- 조선후기 宮中장식 그림의 현대적 수용
- 서말분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74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