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
김경양;
구민관;
부산장신대학교;
Texas woman'
s university;
(특수아동교육연구,
v.21,
2019,
pp.217-242)
-
22
-
일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
표윤희;
이희연;
김경양;
;
(특수아동교육연구,
v.19,
2017,
pp.295-322)
-
23
-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 AAC 관련전문가의 경험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김정연;
박은혜;
김경양;
조선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v.11,
2010,
pp.345-374)
-
24
-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지역 중심
-
구민관;
김경양;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53,
2014,
pp.115-136)
-
25
-
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IEP)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포커스그룹분석
-
이효정;
김경양;
박은혜;
;
(정서·행동장애연구,
v.30,
2014,
pp.177-202)
-
26
-
위치, 상황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AAC 사용자 및 주변 관련인 리빙랩을 중심으로
-
김경양;
김영태;
백경랑;
박은혜;
서울시장애인의사소통권리증진센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65,
2022,
pp.137-165)
-
27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
구민관;
박영근;
김경양;
texas woman'
s university;
중부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
v.22,
2020,
pp.81-103)
-
28
-
중도 비구어장애인을 위한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 인권, 피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
채수정;
연석정;
박경옥;
김경양;
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대구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63,
2020,
pp.119-140)
-
29
-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
-
김경양,;
박경옥,;
;
(重複·肢體不自由硏究=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v.62,
2019,
pp.207-229)
-
30
-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Self-Determination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김경양,;
PARKEUNHYE,;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57,
2014,
pp.4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