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적 관점으로 본 현대춤의 탈중심화 논의
-
이지선;
김말복;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73,
2015,
pp.189-208)
-
22
-
디지털 영상시대 무용수의 몸
-
이지선;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37,
2012,
pp.63-84)
-
23
-
글로컬 시대 한국 컨템퍼러리 댄스의 표현과 의미 - 《묵향》,《 왕자 호동》,《 불쌍》을 중심으로 -
-
나일화;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무용교육학회지,
v.27,
2016,
pp.89-109)
-
24
-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
이나현;
김말복;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74,
2016,
pp.109-122)
-
25.
- 무용 실제에 근거한 무용비평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이일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i, 125p., 1998
-
26
-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34,
2011,
pp.1-27)
-
27
-
춤을 통해본 한국적 움직임커뮤니케이션의 특성
-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18,
2006,
pp.1-28)
-
28
-
21세기 춤 환경과 국립 무용단의 창작 방향
-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12,
2003,
pp.21-52)
-
29
-
해체미학의 선구 머스 커닝엄
-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35,
2012,
pp.1-18)
-
30
-
무용교과 독립을 위한 방안
-
김말복;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예술학연구,
v.11,
2003,
pp.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