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62건 중 962건 출력
, 3/97 페이지
-
21
-
작가 김명순의 삶과 기독교 신앙
-
김경애;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과 역사,
v.0,
2012,
pp.159-193)
-
22.
- 김명순 문학과 자기 서사의 정치학 : 신여성 재현 방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은솔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94 p., 2020
-
23
-
김명순 문학 행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확정과 대항담론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
남은혜;
;
(세계한국어문학 =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3,
2010,
pp.199-242)
-
24.
- 김명순 소설 연구 : 신여성으로서의 글쓰기 방식과 작가의식을 중심으로
- 이유진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66 p., 2008
-
25
-
[기조강연] 축출, 배제의 고리와 대항서사 -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김명순의 문학
-
서정자;
;
(세계한국어문학 =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4,
2010,
pp.13-52)
-
26.
- 김명순 문학의 기독교 언어 전유
- 서욱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130, 2024
-
27
-
김명순 시에 나타난 분노 감정
-
송명희;
;
(여성문학연구,
v.0,
2016,
pp.153-186)
-
28
-
김명순의 일본어 소설『인생행로난(人生行路難)』고찰
-
이성천;
권선영;
경희대학교;
신라대학교;
(한민족문화연구,
v.48,
2014,
pp.485-511)
-
29
-
자료소개 - 김명순의 <두 愛人>
-
박명진;
;
(한국극예술연구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v.14,
2001,
pp.269-325)
-
30
-
1920년대 여성 담론과 김명순의 글쓰기
-
신지연;
한림대학교;
(어문논집,
v.48,
2003,
pp.1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