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
김무봉;
동국대학교;
(동악어문학,
v.0,
2012,
pp.5-50)
-
22
-
『영험약초언해(靈驗略抄諺解)』연구
-
김무봉;
동국대학교;
(동악어문학,
v.0,
2011,
pp.5-47)
-
23
-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
김무봉;
동국대학교;
(불교학연구,
v.30,
2011,
pp.369-416)
-
24
-
『육조법보단경언해』 연구
-
김무봉;
동국대학교;
(불교학연구,
v.14,
2006,
pp.91-128)
-
25
-
⟨訓民正音⟩原本의 출판 문화재적 가치 연구
-
김무봉;
동국대;
(한국사상과 문화,
v.0,
2006,
pp.309-342)
-
26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연구
-
김무봉;
동국대학교;
(한국사상과 문화,
v.0,
2008,
pp.351-394)
-
27
-
『阿彌陀經諺解』의 비교 연구(Ⅱ)– 刊經都監本과 大芚寺本을 중심으로 –
-
김무봉;
동국대학교;
(한국사상과 문화,
v.0,
2009,
pp.459-507)
-
28
-
『석보상절』 권 20 연구 ─서지(書誌)와 언어(言語)를 중심으로
-
김무봉;
동국대학교;
(불교학연구,
v.34,
2013,
pp.253-300)
-
29
-
불경언해와 간경도감(刊經都監)
-
김무봉;
동국대학교;
(동아시아불교문화,
v.0,
2010,
pp.3-49)
-
30
-
『칠대만법(七大萬法)』 연구
-
김무봉;
동국대학교;
(한국사상과 문화,
v.0,
2016,
pp.139-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