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고전문학(古典文學)과 현대문학(現代文學)
-
김열규;
;
(국어국문학,
v.88,
1982,
pp.411-417)
-
22
-
한국인의 '원형' 찾아 학문뱃길 삼십년-'한국민속과 문학연구'부터 '한국신화와 무속연구'까지
-
김열규;
인제대 국문학과;
(출판저널 =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
v.231,
1998,
pp.22-23)
-
23
-
향가(鄕歌)·여요(麗謠) 연구(硏究)의 과거(過去) 및 전망(展望)
-
김열규;
;
(국어국문학,
v.58,
1972,
pp.347-351)
-
24
-
「원가(怨歌)」의 수목(백)(樹木(栢)) 상징(象徵)
-
김열규;
;
(국어국문학,
v.18,
1957,
pp.14-224)
-
25
-
유리(類利)의 태자책봉(太子冊封)에 관(關)한 재론(再論)
-
김열규;
;
(국어국문학,
v.49,
1970,
pp.59-65)
-
26
-
용가의 문체론
-
김열규;
;
(東亞文化 = The Journal of S.N.U. Institute of Asian Studies,
v.1964,
1964,
pp.231-234)
-
27
-
시공감리강화에 의한 부실공사 방지
-
김열규;
;
(국토정보,
v.167,
1995,
pp.14-25)
-
28
-
오늘의 대학과 인문과학
-
김열규;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大學敎育 = Higher education,
v.10,
1984,
pp.59-62)
-
29
-
민속을 통해 본 한국인의 질병관 - 한국인의 전통 민간의술
-
김열규;
인제대 국문학과;
(보건세계,
v.40,
1993,
pp.4-7)
-
30
-
김소월론
-
김열규;
;
(한국시학연구 = Korean poetics studies,
v.2003,
2003,
pp.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