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건 중 92건 출력
, 3/10 페이지
-
21
-
[서평]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김응교의 『백년 동안의 증언: 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폭력』 서평
-
조현철;
서울대학교;
(인문과 예술,
v.0,
2024,
pp.353-360)
-
22
-
영화 <동주>와 윤동주 아우라
-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사고와표현,
v.9,
2016,
pp.215-254)
-
23
-
일본에서의 윤동주 인식- 이부키 고, 오오무라 마스오, 이바라키 노리코의 경우
-
김응교;
한양대학교;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13,
2009,
pp.37-72)
-
24
-
아오바 가오리, 이찬의 희곡「세월」과 친일문학
-
김응교;
;
(민족문화연구,
v.0,
2004,
pp.251-278)
-
25
-
백석 [모닥불]의 열거법 연구
-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현대문학의 연구,
v.0,
2004,
pp.277-304)
-
26
-
김수영의 생태적 상상력, 스피노자와 함석헌
-
김응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시학연구,
v.0,
2022,
pp.9-38)
-
27
-
A Study on Jongsori of Chosun-Japanese's Poetry Literature
-
김응교,;
;
(현대문학의 연구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v.34,
2008,
pp.237-276)
-
28
-
공간트러스구조의 탄소성 후좌굴 해석
-
이상환;
권익노;
김응교;
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권1호(통권1호),
v.2004,
2004,
pp.37-42)
-
29
-
기타하라 하쿠슈 「이 길(この道)」과 윤동주 「새로운 길」 「길」 - 윤동주 연구・7
-
김응교;
;
(한국근대문학연구,
v.17,
2016,
pp.71-95)
-
30
-
이방인,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
김응교;
;
(한국근대문학연구,
v.0,
2010,
pp.123-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