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88건 중 1,000건 출력
, 3/100 페이지
-
21
-
페미니즘 리부트와 ‘김지영’ 현상-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
김양선;
한림대학교;
(여성문학연구,
v.0,
2017,
pp.283-287)
-
22
-
기록, 시차, 젠더-기록과 미디어의 관점에서『82년생 김지영』 읽기-
-
강수환;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
v.0,
2022,
pp.679-711)
-
23
-
A Study on the Feminism Frame in the Korean-Chinese Review of Kim Ji-young Born in 1982
-
Cha, Hyeon-Ju;
YANQ, HAN;
Kweon, Sang Hee;
;
(영화연구= Film studies,
v.89,
2021,
pp.5-46)
-
24
-
장애 여성 김지영: 소설과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생산하는 재현과 담론에 관한 비판적 재고찰
-
우충완;
경인교육대학교;
(문화와융합,
v.44,
2022,
pp.313-324)
-
25
-
문학과 사건 -『82년생 김지영』으로 바라본 정동 장치로서의 소설과 문학주체 되기
-
권영빈;
동아대학교;
(한국문학논총,
v.0,
2022,
pp.313-346)
-
26
-
A Study on Korean and Chinese Gender Discourse through the Film Kim Ji-young, Born 1982
-
Wen, Wei;
;
(역사와융합,
v.24,
2025,
pp.457-486)
-
27
-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oward the Discourses on Misogyny : Based on Kim Ji-Young, Born 1982
-
Kim, Hyeon;
Sohn, Byung Woo;
;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103,
2020,
pp.83-111)
-
28
-
소설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여성주의 상담적 분석: 사례개념화를 중심으로
-
김희선;
이화여자대학교;
(목회와상담,
v.32,
2019,
pp.67-101)
-
29
-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여성인물과 서사 분석
-
이태리;
진성현;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문화와융합,
v.44,
2022,
pp.445-474)
-
30
-
『82년생 김지영』의 젠더의식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황채은;
유영미;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v.6,
2024,
pp.955-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