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중국 조선족문학의 산맥-김학철
-
김호웅;
중국연변대;
(민족문학사연구,
v.21,
2002,
pp.218-249)
-
22
-
만고의 충혼과 그 고뇌
-
김호웅;
중국연변대;
(포은학연구,
v.2,
2008,
pp.97-117)
-
23
-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과 서술양상
-
고유림;
경희대학교;
(한국학연구,
v.0,
2018,
pp.9-35)
-
24
-
An Approach to Implementing Distributed Optimal Power Flow
-
김호웅;
김발호;
김정훈;
Dept. of Electrical & Contro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Dept. of Electrical & Contro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Dept. of Electrical & Contro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v.1997,
1997,
pp.182-186)
-
25
-
전환기 조선족사회와 문학의 새로운 풍경
-
김호웅;
김관웅;
중국연변대;
중국연변대;
(한중인문학연구,
v.0,
2012,
pp.35-56)
-
26
-
2000년대 이후 재한 조선족 소설 연구
-
김호웅;
QUANYINZHU;
연변대학교 조한문학원;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국어국문학,
v.0,
2020,
pp.221-250)
-
27
-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타자-‘이웃’ 형상 연구
-
김호웅;
리위;
연변대학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v.0,
2019,
pp.263-288)
-
28
-
시인의 실험정신과 조선족공동체에 대한 시적 형상화
-
김정영;
김호웅;
연변대학교;
중국 연변대학교;
(한중인문학연구,
v.0,
2017,
pp.203-227)
-
29
-
김준엽의 회고록 장정에 나타난 선비 정신 연구
-
김호웅;
김정영;
연변대;
연변대학교;
(통일인문학,
v.95,
2023,
pp.171-197)
-
30
-
중국 조선족 생태문학의 현황과 과제
-
김호웅;
황귀화;
중국 연변대학교;
연변대학교;
(통일인문학,
v.101,
2025,
pp.267-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