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중국 전통 수묵화의 조형적 심미성 및 창작이념에 관한 연구
- 장졘민
-
호남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V ,158p, 2022
-
22
-
『맹자』민본(民本)사상과 현대적 의의
-
이광혁;
호남대학교;
(중국학,
v.0,
2022,
pp.205-224)
-
23
-
영남 여성의 가사 문학에 대한 1930년대 도남의 학술 연구와 그 의미망
-
김윤희;
안동대학교;
(Journal of korean Culture,
v.63,
2023,
pp.271-297)
-
24
-
《詩經》과 《尙書》의 天人關係論 연구
-
조원일;
전남대학교;
(중국학논총,
v.0,
2016,
pp.235-251)
-
25
-
타이베이제국대학 학생의 출신학교와 진로
-
오우쑤잉;
國史館臺灣文獻館타이완;
(역사문제연구,
v.15,
2011,
pp.111-146)
-
26
-
주민 주도형 마을박물관의 현황과 지속적 운영을 위한 제언 - 거창군 임불고품전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성진석;
미리벌민속박물관;
(박물관학보,
v.0,
2016,
pp.25-49)
-
27
-
긴장성 두통의 치의학적 평가
-
이홍규;
홍정표;
전양현;
;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29,
2004,
pp.395-406)
-
28
-
先秦시대 전통 災異觀
-
김지수;
전남대학교;
(서울법학,
v.30,
2022,
pp.261-314)
-
29
-
淺析麗·鮮時代漢詩援用中國書畫典故之例
-
WANGYANAN;
고려대학교;
(Journal of korean Culture,
v.64,
2024,
pp.317-339)
-
30.
- 《詩經·國風》의 여성사상 연구
- 마청
-
숭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87 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