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The Last Poem Flower(꽃) by Lee, Yuk - sa: An Evocation Song of Revolutionary Comrades
-
도진순,;
;
(한국시학연구 = Korean poetics studies,
v.46,
2016,
pp.37-57)
-
22
-
1948-49년 김구 평화통일론의 내면과 외연
-
도진순;
창원대학교;
(한국학,
v.27,
2004,
pp.97-139)
-
23
-
1950년 1월 애치슨의 프레스클럽 연설과 하나의 전쟁 논리
-
도진순;
창원대학교;
(한국사연구,
v.0,
2002,
pp.7-231)
-
24
-
한국전쟁의 기본개념으로서 제한전(limited war)의 성립과 분화-한반도에 대한 전략적 가치 평가와 관련하여-
-
도진순;
창원대;
(한국사연구,
v.0,
2004,
pp.253-285)
-
25
-
육사의 절명시 「꽃」 - 동지를 부르는 초혼가
-
도진순;
창원대학교;
(한국시학연구,
v.0,
2016,
pp.37-57)
-
26
-
세기(世紀)의 망각(忘却)을 넘어서―러일전쟁 100주년 기념행사를 중심으로
-
도진순;
창원대 교수;
(역사비평,
v.0,
2006,
pp.279-318)
-
27
-
1951년 1월 산성동 폭격과 미 10군단의 조직적 파괴 정책
-
도진순;
창원대;
(역사비평,
v.0,
2005,
pp.100-139)
-
28
-
동북아 평화벨트 시론 ― 한중일 전쟁 기억, 망각을 넘어 평화의 연대로
-
도진순;
창원대학교;
(역사비평,
v.0,
2009,
pp.393-425)
-
29
-
안중근 가문의 유방백세와 망각지대
-
도진순;
창원대학교;
(역사비평,
v.0,
2010,
pp.242-280)
-
30
-
육사의 「청포도」 재해석 - ‘청포도’와 ‘청포(靑袍)’, 그리고 윤세주
-
도진순;
창원대학교;
(역사비평,
v.0,
2016,
pp.441-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