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의 도입부 내용 설정과 ‘내용 체계’의 연계성 강화 방안
-
류준필;
인하대학교;
(동방한문학,
v.0,
2008,
pp.335-371)
-
22
-
碧史 李佑成과 ‘한국문학사’의 인식 및서술 체계― 《국문학사》와 《한국문학통사》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류준필;
서울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3,
pp.73-99)
-
23
-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
류준필;
;
(한국한문학연구,
v.0,
2010,
pp.113-155)
-
24
-
1910~20년대 초 한국에서 자국학 이념의 형성 과정 ― 최남선과 안확을 중심으로
-
류준필;
;
(대동문화연구,
v.0,
2005,
pp.35-61)
-
25
-
陶南 국문학사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인식
-
류준필;
인하대학교;
(고전문학연구,
v.0,
2005,
pp.167-187)
-
26
-
《論語集注》의 문헌학적 읽기(1)― 「學而」편 1장의 주석 분석
-
류준필;
서울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1,
pp.293-348)
-
27
-
‘이별(론)’의 텍스트 읽기-‘재미ㆍ흥미ㆍ의미’의 상관적 시각에서
-
류준필;
인하대학교;
(고전문학과 교육,
v.0,
2016,
pp.37-81)
-
28
-
京師大學堂 學科制度의 設立 過程과 ‘文學’의 位相
-
류준필;
성균관대학교;
(중국문학,
v.56,
2008,
pp.319-346)
-
29
-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조선문학사' 인식과 그 지정학적 함의: 자국(문)학 형성의 맥락에서
-
류준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
v.0,
2014,
pp.93-124)
-
30
-
困惑과 悖論 : 첸리췬(錢理群)의 ‘중국 사회주의 인식’에 대하여
-
류준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
v.0,
2012,
pp.179-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