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문예지를 매개로 한 한국 소설가들의 사회적 지형: 1994~2014
-
;
;
(현대소설연구,
v.0,
2016,
pp.169-228)
-
22.
- 이문구 『우리 동네』 연작에 나타난 골계미 고찰
- 오인선
-
순천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 2016
-
23
-
문학상 제도와 성장 서사의 앙상블 최근 청소년문학상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
김화선;
배재대학교;
(문화와융합,
v.44,
2022,
pp.879-894)
-
24.
- 이문구와 호학문(胡学文)의 농촌소설 비교연구
- 王杨
-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72 p., 2020
-
25
-
한국 노년소설에 형상화된 노년 여성의 자아 정체감 -2000~2020년 계간 문예지 3종의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심유미;
단국대학교;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26,
2022,
pp.189-212)
-
26
-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
이혜정;
서울대학교;
(춘원연구학보,
v.0,
2023,
pp.371-402)
-
27
-
인물전기형 소설 연구
-
이내관;
배재대학교;
(어문연구,
v.82,
2014,
pp.277-306)
-
28.
- 김소진 소설연구
- 김덕임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 126p., 2009
-
29.
- 김소진 소설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
- 이경진
-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52 p., 2014
-
30.
- 중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학습 활동의 비판적 고찰 :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오현향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iii, 75장,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