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조선어 문장 형성 연구의 향방 『문장강화』연구사
-
문혜윤;
고려대학교;
(상허학보,
v.42,
2014,
pp.93-121)
-
22
-
1930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 어문운동의 맥락과 『문장강화』의 지향
-
문혜윤;
고려대학교;
(상허학보,
v.17,
2006,
pp.201-234)
-
23
-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 문학
-
문혜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
v.0,
2016,
pp.183-205)
-
24
-
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
-
문혜윤;
고려대학교;
(어문논집,
v.0,
2006,
pp.199-223)
-
25
-
근대계몽기 여성 교과서의 열녀전(列女傳/烈女傳), 그리고 애국부인들—장지연의 『여자독본』을 중심으로
-
문혜윤;
경희대학교;
(반교어문연구,
v.0,
2013,
pp.97-128)
-
26
-
서간 연구의 폭과 깊이 -김성수, 『한국 근대 서간 문화사 연구-서간·서간문학의 리터러시와 계몽의 수사학』, 성균관대 출판부, 2014
-
문혜윤;
고려대학교;
(반교어문연구,
v.0,
2015,
pp.665-673)
-
27
-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
문혜윤;
성신여자대학교;
(한국근대문학연구,
v.1,
2009,
pp.41-66)
-
28
-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
문혜윤;
성신여자대학교;
(반교어문연구,
v.0,
2010,
pp.33-63)
-
29
-
이상의 『동해』에 나타난 언술 형식 연구
-
문혜윤;
고려대학교;
(어문논집,
v.46,
2002,
pp.10-343)
-
30
-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
문혜윤;
고려대학교;
(우리어문연구,
v.0,
2015,
pp.7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