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3건 중 283건 출력
, 3/29 페이지
-
21.
- (An) analysis of the American-Japanese diplomatic negotiation in 1941 with special reference to Allison's decision-making model
- 정정숙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국내석사,
viii, 74p., 1984
-
22.
- 미중경쟁 심화와 한미 및 미일 동맹 결속도 변화요인 연구 : 오바마 2기 ~ 트럼프 행정부를 중심으로 ‐
- 신준철
-
국방대학교 관리대학원, 국내석사,
94, 2023
-
23
-
군정기 미국의 대(對)한반도 점령 정책 : 1945-1948
-
신복룡;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30,
2009,
pp.5-43)
-
24
-
아베 외교는 무엇이었는가 ― ‘아베 노선’의 한계 ―
-
이기태;
통일연구원;
(일본학보,
v.0,
2023,
pp.219-239)
-
25
-
아베정부의 우경화와 미일동맹 강화가 한반도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
-
이인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동아연구,
v.34,
2015,
pp.73-113)
-
26
-
하토야마(鳩山)내각에 있어 후텐마(普天間)기지 반환문제와 미일안보체제의 재인식 - 오키나와 주민들의 시점
-
진필수;
;
(사회와역사,
v.92,
2011,
pp.169-226)
-
27.
- 일본의 한반도통일 관련정책 결정요인 연구 : 한·일, 북·일 협상의제를 중심으로
- 박성황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 262 p., 2016
-
28
-
일본 민주당의 동아시아 외교·안보전략과 한국의 대응
-
연현식;
국가정보대학원;
(신아세아,
v.17,
2010,
pp.32-54)
-
29
-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경쟁 - 조선총독부와 미국 개신교 선교세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명규;
김백영;
;
(사회와역사,
v.82,
2009,
pp.5-39)
-
30
-
동맹정치의 변화와 동맹관계-한미·미일동맹을 중심으로-
-
이기완;
창원대학교;
(국방연구,
v.53,
2010,
pp.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