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좌담회] 2002년 6월, 우리들의 대한민국 : 요동치는 급변 속에서도 놓지 말아야 할 것들(김일영, 박노자, 최보은, 한홍구, 정태인, 김선중)
-
참여사회연구소 편집부;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시민과 세계,
v.0,
2002,
pp.131-168)
-
22
-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에서 본 러시아 제국주의와 우크라이나
-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학;
(마르크스주의 연구,
v.19,
2022,
pp.12-37)
-
23
-
착한 천성의 아이와 같은 저들―1880~1900년대의 러시아 탐험가들의 한국 관련 기록에서의 오리엔탈리즘적 (허위)인식의 스펙트럼
-
박노자;
;
(대동문화연구,
v.0,
2006,
pp.133-173)
-
24
-
An Interview with Mikhail N. Pak
-
박노자;
Universiteit i Oslo;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5,
2002,
pp.133-161)
-
25
-
식민지 시대의 사회주의 운동, 살릴 만한 가치란 무엇인가?
-
박노자;
오슬로대학;
(마르크스주의 연구,
v.21,
2024,
pp.10-22)
-
26
-
착한 천성의 아이와 같은 저들―1880~1900년대의 러시아 탐험가들의 한국 관련 기록에서의 오리엔탈리즘적 (허위)인식의 스펙트럼
-
박노자;
Universiteit i Oslo;
(대동문화연구,
v.0,
2006,
pp.133-173)
-
27
-
21세기의 한국 사학의 방향 모색: 다원주의적 역사 서술을 위하여
-
박노자;
오슬로대학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37,
2003,
pp.387-415)
-
28
-
‘힘’으로서의 ‘자유’ : 梁啓超의 强權論的 ‘자유론’과 구한말의 지성계
-
박노자;
오슬로대학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39,
2004,
pp.237-296)
-
29
-
러시아 한국학의 개척자: 미하일 박 교수
-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대학;
(한국학,
v.25,
2002,
pp.283-305)
-
30
-
(서평) 김경일의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백산서당, 2003)에 대한 서평
-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학;
(한국학,
v.26,
2003,
pp.34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