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1950년대 박봉우의 시와 분단 의식
-
박몽구;
순천향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 31,
2012,
pp.131-160)
-
22
-
1950년대 박봉우 시(읽기)의 정치성 연구 -‘리듬-이미지’와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
김창욱;
연세대학교;
(국제어문,
v.0,
2024,
pp.141-178)
-
23
-
전주 시기 박봉우 시의 병리적 미의식연구
-
문신;
우석대학교;
(국어문학,
v.72,
2019,
pp.231-255)
-
24.
-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현실 비판의식 연구 : 박봉우ㆍ신동문ㆍ신동엽을 중심으로
- 이혜경
-
한남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i, 118 p., 2015
-
25
-
박봉우 시 연구 지속과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
신재은;
동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
v.36,
2009,
pp.111-135)
-
26
-
박봉우의 전후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
강희안;
배재대학교;
(한남어문학,
v.23,
1998,
pp.55-72)
-
27
-
박봉우의 50년대 시와 '나쁜주체'의 역할
-
신기훈;
경북대학교;
(어문론총,
v.0,
2004,
pp.207-230)
-
28
-
창간사
-
박봉우;
;
(山林休養硏究 : 한국산림휴양연구회지 =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v.1,
1997,
pp.3-4)
-
29
-
구내 CATV 시스템
-
박봉우;
한국통신기술(주) 정보통신기술팀;
(照明·電氣設備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11,
1997,
pp.20-28)
-
30
-
자연공원에 대한 단편적인 생각들
-
박봉우;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공원문화= National Parks of Korea,
v.81,
2006,
pp.3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