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
1960년대 한국미술에서 ‘구상추상 논쟁’과 ‘리얼리티’의 문제
-
김주원;
상명대학교;
(미술사학보,
v.0,
2011,
pp.5-42)
-
22.
- '관계'의 개념에 의한 현대 미술관의 공간 프로그램과 디자인 특성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 홍준기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국내석사,
104, 2020
-
23
-
1970년대 한국추상회화에 있어서 작위(作爲)와 무위(無爲)의 역설: 이일의 ‘범자연주의’와 박서보의 ‘무위론’을 중심으로
-
이필;
홍익대학교;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v.0,
2021,
pp.233-252)
-
24.
- 케이옥션 미술경매 동향 연구 : 한국 근현대 작가를 중심으로
- 이상규
-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xvii. 253pp., 2020
-
25
-
1970~80년대 한국 추상미술과 물성(materiality)
-
김이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미술사학보,
v.0,
2010,
pp.139-170)
-
26
-
1950년대 앵포르멜 운동과 방근택: 현대미협을 중심으로
-
박파랑;
홍익대학교;
(미술사학보,
v.0,
2010,
pp.343-386)
-
27.
- 1970년대 한국 단색화 운동과 국제화
- 구진경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xvi, 315p., 2015
-
28.
- 윤형근 회화의 건축적 재해석을 통한 미술관 계획
- 신홍섭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국내석사,
91, 2021
-
29.
- 하종현 회화의 건축적 재해석을 통한 미술관 계획 : 배압법을 중심으로
- 정인석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국내석사,
, 2025
-
30.
-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나영란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ii, 115 p., 2010